여행자를 위한 서시/Healing poem

교외(郊外) 박성룡

무디따 2015. 4. 10. 22:09

 

 

 

 

 

 

 l

무모(無毛)한 생활에선 이미 잊힌 지 오랜 들꽃이 많다.

 

더욱이 이렇게 숱한 풀벌레 울어 예는 서녘 벌에

한 알의 원숙한 과물(果物)과도 같은 붉은 낙일(落日)을 형벌처럼 등에 하고

홀로 바람 외진 들길을 걸어 보면

이젠 자꾸만 모진 돌 틈에 비벼 피는 풀꽃들의 생각밖엔 없다.

 

멀리 멀리 흘러가는 구름포기

그 구름 포기 하나 떠오름이 없다.

 

 II

풋물 같은 것에라도 젖어 있어야 한다.

풀밭엔 꽃 잎사귀

과일 밭엔 나뭇잎들

이젠 모든 것이 스스로의 무게로만 떨어져 오는

산과 들이 이렇게 무풍(無風)하고 보면

아 그렇게 푸르기만 하던 하늘, 푸르기만 하던 바다, 그보다도

젊음이란 더욱 더 답답하던 것,

한없이 더워 있다 한없이 식어 가는

피 비린 종언(終焉)처럼

나는 오늘 하루

풋물 같은 것에라도 젖어 있어야 한다.

 

 III

바람이여,

       

풀섶을 가던, 그리고 때로는 저기 북녘의 검은 산맥을 넘나들던

그 무형(無形)한 것이여,

너는 언제나 내가 이렇게 한낱 나뭇가지처럼 굳어 있을 땐

와 흔들며 애무(愛撫)했거니,

나의 그 풋풋한 것이여.

불어 다오,

저 이름 없는 풀꽃들을 향한 나의 사랑이

아직은 이렇게 가시지 않았을 때

다시 한 번 불어 다오, 바람이여,

아 사랑이여.